GHS 분류 체계 완벽 가이드: 그림문자, 경고문구, SDS·라벨 작성법

이 글의 목적은 GHS(Globally Harmonized System)의 분류·표시 원칙을 현장에서 바로 적용할 수 있도록 물리적 위험, 건강·환경 유해성, 그림문자와 신호어, H/P 문구, SDS·라벨 작성 기준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실무자가 표준화된 안전정보를 구축하도록 돕는 것이다.

1. GHS 핵심 개념과 적용 범위

GHS는 화학물질의 위험성을 분류하고 동일한 형식으로 표시·전달하기 위한 국제 조화 체계이다. 혼합물과 단일물질 모두에 적용하며, 산업용·소비자용·수송 전 단계의 위험소통을 표준화한다. 국가별 법령 체계는 GHS를 기초로 채택·보완하며, 라벨과 SDS는 작업장 내 의무적 위험소통 수단으로 기능한다.

주의 : GHS는 체계 자체이며 법률이 아니다. 각 국가의 산업안전보건·화학물 규정이 GHS를 도입하여 구체적 의무를 규정하므로 국내 적용 시 해당 법령 기준을 우선 확인해야 한다.

2. 위험구분 체계: 물리·건강·환경

GHS 분류는 세 가지 축으로 구성한다.

  • 물리적 위험: 폭발성, 인화성, 산화성, 고압가스 등 물질의 물리적 성질로 인한 위험을 포함한다.
  • 건강 유해성: 급성독성, 피부·눈 손상, 피부감작성, 생식세포 변이원성, 발암성, 생식독성, 특정표적장기독성(STOT) 등 인체에 대한 유해성을 포함한다.
  • 환경 유해성: 수생환경 유해성, 오존층 유해성 등을 포함한다.

각 위험군은 Hazard Class(유해·위험성 분류군)과 숫자로 세분된 Category(범주)로 표현하며, 범주가 낮을수록 일반적으로 더 높은 위험을 의미한다.

3. GHS 그림문자 9종 요약

그림문자기호 설명주요 적용 분류군 예
폭발물 (Exploding Bomb)폭발성 물질·혼합물폭발성, 자기반응성(A/B), 유기과산화물(A/B)
불꽃 (Flame)인화성 위험인화성 가스·에어로졸·액체·고체, 자기반응성(C~F), 유기과산화물(C~F), 가연성 금속, 발열성 물질
산화성 불꽃 (Flame Over Circle)산화성 작용산화성 가스·액체·고체
가스통 (Gas Cylinder)압축·액화·고압가스고압가스(압축·액화·냉동·용해)
부식 (Corrosion)금속 및 조직 부식금속부식성, 피부부식성 1, 심한 눈 손상 1
해골과 교차된 뼈 (Skull and Crossbones)급성독성 고위험급성독성 범주 1~3(경구/경피/흡입)
느낌표 (Exclamation Mark)상대적으로 경미한 건강유해급성독성 4, 피부자극 2, 눈자극 2, 피부감작성 1, 특정표적장기독성 단회노출 3, 호흡기·피부 과민성 일부 범주 제외 시
건강유해 (Health Hazard, 인체 실루엣)만성·심각 건강유해발암성, 생식세포 변이원성, 생식독성, 특정표적장기독성(1,2), 흡입 독성 위험(흡인유해성)
환경 (Environment)수생환경 유해수생환경 급성·만성 유해성
주의 : 적용 분류군은 중복될 수 있다. 동일 물질이 여러 그림문자 대상이면 중복 표기하되, 국가 라벨 간소화 규칙이 있으면 우선한다.

4. 신호어와 H/P 문구 구성 원칙

GHS 라벨은 신호어(Signal Word)로 위험 정도를 요약한다.

  • 위험(Danger): 높은 위험 범주에 사용한다.
  • 경고(Warning): 상대적으로 낮은 위험 범주에 사용한다.

H문구(Hazard Statements)는 유해·위험성 기술 문구로 각 분류·범주에 고유 코드(H2xx, H3xx, H4xx 등)를 부여한다. P문구(Precautionary Statements)는 예방(P2xx), 대응(P3xx), 저장(P4xx), 폐기(P5xx)로 구성한다. 문구 선택 시 중복을 최소화하되, 필수 문구는 생략하지 않는다.

5. 분류 절차: 데이터 수집부터 범주 결정까지

  1. 데이터 수집: 시험자료, 동등성 평가, QSAR, 인간 경험자료, 공인 데이터베이스를 우선순위에 따라 수집한다.
  2. 물리적 위험: 인화점, 끓는점, 증기압, 산소지수, 분해온도 등 표준시험(예: 인화성 액체는 인화점·초크포인트)을 기준으로 범주를 판단한다.
  3. 건강 유해성: LD50/LC50, 피부·눈 부식/자극 시험, 감작성, 반복노출 독성, 발암성·생식독성, 흡인유해성 자료로 범주를 결정한다.
  4. 환경 유해성: 수생 독성(어류·무척추·조류 EC/LC/NOEC), 분해성·축적성 자료로 급성/만성 범주를 부여한다.
  5. 혼합물 규칙: 가중평균, 합성공식(ATE), 특이 기준(감작성·발암성 등 성분기준)으로 혼합물 범주를 산정한다.
  6. 라벨·SDS 매핑: 최종 범주에 해당하는 그림문자, 신호어, H/P 문구를 선택·배치한다.
주의 : 혼합물 분류에서 급성독성은 ATE 계산을, 피부·눈 자극은 성분별 한계농도(예: ≥3% 등)를 활용한다. 만성분류는 M-계수 적용으로 고독성 성분의 가중을 강화한다.

6. 인화성·산화성·폭발성 등 물리적 위험 분류 체크리스트

항목필수 데이터분류 요점현장 체크
인화성 액체 인화점, 초기 끓는점 인화점·끓는점 조합으로 1~4 범주 결정 용기 라벨 인화점 표시, 점화원 관리
인화성 고체 연소시험 결과 연소 속도·확산 여부로 분류 분말 비산제어, 정전기 접지
산화성 물질 산화성 시험(O.1~O.3) 산화성 가스/액체/고체 각 1~3 범주 가연물 분리, 금속촉매 접촉 금지
폭발성 열/충격/마찰 민감도 불안정 폭발성, 1.1~1.6 분류 준용 저충격 취급, 온도관리
고압가스 압력·온도·상태 압축·액화·냉동·용해 가스로 표기 용기 고정, 밸브 보호캡 사용
부식성 금속 금속부식율 알루미늄 기준 부식율로 분류 금속설비 접촉 금지, 이중용기

7. 건강 유해성 분류 핵심 포인트

  • 급성독성: 경구·경피·흡입 경로별 LD50/LC50 기반 1~5 범주를 적용한다. 범주 1~3은 해골 그림문자, 범주 4는 느낌표를 사용한다.
  • 피부부식/자극: 범주 1(부식)에는 부식 그림문자, 범주 2(자극)는 느낌표를 사용한다.
  • 심한 눈 손상/자극: 범주 1은 부식 그림문자, 범주 2는 느낌표를 사용한다.
  • 호흡기·피부 과민성: 감작성 1은 느낌표, 일부 법령 체계에서 건강유해 그림문자 병행 기준을 둘 수 있다.
  • 생식세포 변이원성·발암성·생식독성: 건강유해 그림문자와 신호어 위험을 사용하며, 가능한 노출경로 기재와 추가 P문구를 부여한다.
  • 특정표적장기독성(STOT): 단회노출·반복노출로 구분하고 범주 1·2는 건강유해, 범주 3은 느낌표를 사용한다.
  • 흡인유해성: 저점도 탄화수소 등은 범주 1 적용 시 건강유해 그림문자와 H304를 부여한다.

8. 환경 유해성 분류와 M-계수

수생생물에 대한 급성(예: 96h LC50)과 만성(예: NOEC, 분해성·축적성) 기준으로 분류한다. 고독성 성분에는 M-계수를 부여하여 혼합물 분류 시 영향력을 가중한다. 만성 범주는 분해성 부족과 생물농축 성향이 결합될 때 상향될 수 있다.

9. 혼합물 분류 실무 알고리즘

  1. 성분별 GHS 분류표 수집 및 최신화한다.
  2. 급성독성은 성분의 ATE로 환산하여 혼합물 ATE를 계산한다.
  3. 피부·눈 자극, 금속부식성 등은 지정 한계농도에 따라 기계적 추론한다.
  4. 발암성·생식독성·변이원성·STOT 등은 특정 성분농도 이상 시 혼합물에 동일 분류를 승계한다.
  5. M-계수가 지정된 수생독성 성분은 가중 합산하여 혼합물 분류를 결정한다.
주의 : 자료 부재 시 유사물질 데이터로 읽어오는 브릿징 원칙을 적용할 수 있으나, 가정·추정에 의존한 과소평가는 금지한다.

10. 라벨 구성요소와 배치 규칙

  • 제품 식별자: 물질명, 혼합물명, 고유식별자(CAS 등)를 명확히 표시한다.
  • 공급자 정보: 제조자·수입자·공급자 성명, 주소, 연락처를 기재한다.
  • 그림문자: 흰 바탕 적색 마름모, 흑색 기호로 인쇄한다.
  • 신호어: 위험 또는 경고 중 하나만 선택한다.
  • H문구: 분류별 필수 문구를 모두 기재한다.
  • P문구: 예방·대응·저장·폐기 카테고리에서 중복을 최소화하여 선택한다.
  • 보충정보: 특정 법령 요구사항, 사용제한, 함유물 등 필요 시 추가한다.
주의 : 다수의 분류가 동시에 적용되는 경우 그림문자 과다로 가독성이 저하된다. 동일 의미의 중복 문구는 통합하고, 신호어는 하나만 유지한다.

11. 샘플 라벨 문안 템플릿

제품명(Product Identifier): XY-123 Solvent Blend 공급자(Supplier): ABC Chemicals Co., Ltd. Tel: 02-000-0000 신호어(Signal Word): 위험 그림문자(Pictograms): 불꽃, 건강유해, 느낌표
유해·위험문구(Hazard Statements):
H225: 고인화성 액체 및 증기
H304: 삼켜서 기도로 유입되면 치명적일 수 있음
H336: 졸음이나 어지러움을 유발할 수 있음

예방조치문구(Precautionary Statements):
P210: 열·스파크·화염·고열 표면으로부터 멀리할 것
P241: 방폭형 전기·환기·조명 장비 사용
P261: 증기·미스트 흡입을 피할 것
P301+P310: 삼킨 경우 즉시 의료기관에 연락할 것
P403+P235: 잘 환기되는 곳에 보관하고 서늘하게 둘 것
P501: 내용물/용기는 관련 규정에 따라 폐기할 것

12. SDS 16개 항목과 GHS 연계

섹션제목GHS 연계 포인트
1화학제품과 회사 식별제품 식별자, 용도, 공급자 정보, 긴급연락
2유해성의 개요그림문자, 신호어, H/P 문구, 기타 유해성
3성분/함유정보분류·범주·농도, 고유식별자
4응급조치P3xx 대응 문구와 일치
5화재조치인화성 분류, 적합 소화제, 특이 위험
6누출사고대응격리, 환기, 보호구, 유출처리
7취급 및 저장P2xx·P4xx와 정합
8노출방지·개인보호구직업성 노출기준, 공학적 제어, PPE
9물리·화학적 특성인화점, 끓는점, pH, 증기압 등
10안정성·반응성반응성, 안정성, 위험분해
11독성정보급성·만성·특정표적장기독성 등
12환경에 미치는 영향수생독성, 분해성, 축적성
13폐기시 주의사항P501 연계
14운송에 필요한 정보유해물질 수송 분류와의 정합
15법적 규제현황국가별 규정 고지
16기타 참고사항개정 이력, 약어, 출처
주의 : SDS 섹션 2의 라벨 요소는 실제 라벨과 일치해야 한다. 변경 시 라벨과 SDS를 동시에 업데이트한다.

13. H/P 문구 선택 최적화 절차

  1. 최고 위험 범주를 우선 식별하여 신호어를 결정한다.
  2. 필수 H문구를 모두 나열한 뒤 중복·상충을 검토한다.
  3. P문구는 예방·대응·저장·폐기에서 각각 핵심 행동을 대표하는 문구를 우선 선택한다.
  4. 특정 사용시나리오(분무, 고온 공정, 밀폐 공간)에서 필요한 추가 문구를 덧붙인다.
  5. 문장 길이를 줄이고 사용자 행동 중심으로 재정렬하여 가독성을 확보한다.

14. 혼합물 라벨링 사례 비교

사례주요 분류그림문자/신호어핵심 H/P 문구
톨루엔 60% + 헥산 30% + 첨가제 인화성 액체 2, STOT 단회 3, 흡인유해성 1, 생식독성 2 불꽃, 건강유해 / 위험 H225, H304, H336, H361 / P210, P261, P301+P310, P403+P235
산화제 함유 세정제 산화성 액체 2, 피부자극 2, 심한 눈 손상 1 산화성, 부식, 느낌표 / 경고 H272, H315, H318 / P220, P280, P305+P351+P338
구리염 수용액 수생환경 만성 2, 피부감작성 1 환경, 느낌표 / 경고 H317, H411 / P261, P273, P333+P313, P391

15. 작업장 적용 로드맵

  1. 재고 파악: 모든 물질·혼합물 목록과 최신 SDS 수집·검증한다.
  2. 분류 검토: 공급자 분류를 기준으로 현장 사용조건에 따른 추가 위험을 검토한다.
  3. 라벨 표준화: 규격 라벨 템플릿을 채택하고 인쇄·부착 절차를 문서화한다.
  4. SDS 관리: 개정주기 설정, 변경관리(MOC)와 연계한다.
  5. 교육: 그림문자 의미, H/P 행동지침, 응급조치 훈련을 정기 시행한다.
  6. 감사: 라벨 누락·훼손, 언어 불일치, 구형 SDS를 주기적으로 감사한다.

16. 빈번한 비준수 유형과 개선 팁

  • 신호어 이중 표기: 위험과 경고를 동시에 표기하는 오류가 많다. 한 가지만 허용한다.
  • 그림문자 누락: 급성독성 4를 느낌표로 표시하지 않거나 환경유해성 생략이 발생한다. 분류표를 기준으로 교차검증한다.
  • H/P 문구 과다: 읽기 어려운 라벨은 안전행동으로 이어지지 않는다. 필수 위주로 통합한다.
  • SDS-라벨 불일치: 개정 시 동시 업데이트 규칙을 수립한다.
  • 혼합물 ATE 미적용: 공급자 성분표에서 ATE 환산값을 계산하여 급성독성 범주를 재검토한다.
주의 : 라벨 축약은 허용 범위 내에서만 가능하다. 필수 요소 삭제는 위반이다.

17. 표준 운영절차(SOP) 예시

제목: GHS 라벨 및 SDS 관리 SOP 목적: 현장 내 모든 화학제품의 GHS 준수 라벨링과 SDS 최신화를 보장한다. 범위: 제조, 보관, 사용, 운송, 폐기 전 과정. 책임: EHS팀 총괄, 각 공정 책임자 실행.
절차:

신규 물질 도입 전 사전 분류 검토 및 라벨·SDS 확보

혼합물 변경 시 분류 재평가(ATE, M-계수 반영)

라벨 템플릿에 제품식별자/그림문자/신호어/H/P/공급자 입력

인쇄 규격: 적색 마름모, 최소 픽토그램 변 번호·크기 준수

보관구역 라벨 가독성 점검(분기 1회)

SDS 개정 시점: 신규 지식, 규제 변경, 조성변화 발생 즉시

교육: 신규 입사자 교육, 연 1회 재교육

문서화: 변경관리 기록, 감사지적 시정조치 30일 이내 완료

18. 교육용 퀵 리퍼런스 카드 구성

  • 앞면: 9개 그림문자 아이콘과 의미, 신호어 선택 규칙 요약.
  • 뒷면: H/P 문구 그룹핑 표, 응급연락처, 누출·화재 첫 행동.

19. 현장 점검 체크리스트

점검항목기준빈도기록
라벨 필수요소 완비제품식별자/그림문자/신호어/H·P/공급자월 1회라벨 점검표
SDS 최신본 비치최근 개정본, 현지 언어월 1회SDS 목록
가독성 및 내구성훼손·오염·퇴색 없음월 1회현장사진
혼합물 변경 추적MOC 적용·재분류 수행변경 시MOC 기록
교육 이수신규·정기 교육 완료분기 1회교육대장

20. 자주 쓰는 H/P 문구 매핑 예

분류대표 H문구대표 P문구
인화성 액체 2H225P210, P240, P305+P351+P338
급성독성 4(경구)H302P270, P301+P312
피부부식 1H314P260, P280, P305+P351+P338, P310
STOT 단회 3H336P261, P271, P304+P340
흡인유해성 1H304P301+P310, P331
수생 만성 2H411P273, P391, P501

21. 라벨 디자인 실무 팁

  • 그림문자 크기는 라벨 크기에 비례해 확대·축소하되 적색 테두리 두께를 유지한다.
  • 신호어·H/P 문구는 아이콘 인접 위치에 배치하고 제품 식별자는 최상단에 배치한다.
  • 산업용 용기는 환경조건(습기·유분)에 견디는 내구 라벨지를 사용한다.
  • 복수 언어 병기 시 레이아웃을 분할하여 가독성을 확보한다.

22. 데이터 격차 대응 전략

  1. 공급자 SDS와 공인 데이터베이스 간 상충 시 보수적으로 분류한다.
  2. 시험자료 부재 시 구조유사물질(read-across) 적용 근거를 SDS 섹션 11/12에 명시한다.
  3. 혼합물의 공정상 변화(가열·증기화·분무)는 노출경로 증가로 이어지므로 STOT 및 흡인유해성 재평가가 필요하다.

23. 도입·감사 체크포인트 요약

  • 최신 분류기준 반영 여부
  • 혼합물 ATE·M-계수 산정 근거 보관
  • 라벨 요소 누락/중복 검토
  • SDS-라벨 일치성
  • 교육·감사 기록의 추적가능성

FAQ

그림문자 여러 개를 동시에 표시해야 할 때 순서는 어떻게 하나?

가독성과 위험 우선순위를 고려하여 급성·만성 건강유해 및 물리적 위험을 전면에 배치하고, 동일 의미의 중복 그림문자는 제거한다. 신호어는 하나만 유지한다.

혼합물에 발암성 성분이 소량 포함되면 라벨에 발암 문구를 넣어야 하나?

발암성 분류는 성분 농도가 규정 임계치 이상이면 혼합물에 승계된다. 임계치 미만이더라도 다른 유해성과 함께 고려하여 보수적으로 표기할 수 있다.

소분 용기에도 동일한 라벨이 필요한가?

작업장 내 소분 용기라도 식별자, 그림문자, 신호어, 핵심 H/P 문구를 포함한 GHS 라벨을 부착해야 한다. 공간 제약 시 축약 라벨을 허용하는 내부 규정을 마련한다.

SDS 언어는 어떻게 정하나?

근로자가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 제공해야 한다. 다국적 사업장은 현지 언어와 공통 업무언어 병기를 권장한다.

수송 라벨과 GHS 라벨이 다르면 무엇을 따르나?

수송 시에는 UN 수송규정을 우선 적용하고, 작업장 내에서는 GHS 라벨을 병행한다. 동일 위험을 나타내지만 체계가 다르므로 혼동을 피하도록 교육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