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독물질 해독제 목록과 응급투여 완전 가이드

이 글의 목적은 현장에서 유독물질 중독 환자 발생 시 물질별 해독제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선택·투여할 수 있도록 원리, 용량, 병용요법, 금기와 실무 포인트를 체계적으로 정리하는 것이다.

응급 중독 대응의 4단계 프레임

응급의료 현장과 산업보건 현장에서의 해독제 투여는 다음의 4단계를 기준으로 표준화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1. 1단계(현장안전·오염제거) : 현장 격리, 호흡보호구 착용, 노출원 차단, 환자 제독 및 세척을 우선한다.
  2. 2단계(ABCDE) : 기도·호흡·순환 확보, 신경학적 상태 평가, 산소 공급 및 활력징후 모니터링을 즉시 시행한다.
  3. 3단계(의심 독물 가설수립) : 노출 경로, 냄새, 현장 라벨, 동시 노출자 증상, 화학물질 목록을 근거로 우선 의심물을 특정한다.
  4. 4단계(해독제·보조치 투여) : 시간 의존성이 큰 해독제를 먼저 투여하고, 필요 시 혈액투석·지지요법을 병행한다.
주의 : 해독제는 보조요법이 아니라 핵심 처치인 경우가 많다. 투여 지연은 예후 악화로 직결되므로, 의심 단계에서 확진 전이라도 위험 편익이 명확한 경우 즉시 투여한다.

해독제 선택 알고리즘(의사결정 예시)

# 유독물질 의심 중독 초기 알고리즘(현장용 요약) if 환자.호흡정지 or 저산소: 100% 산소 또는 고유량 산소 공급 필요시 기도 확보 및 인공환기 if 아편계 의심(축동, 호흡억제, 의식저하): 날록손 0.04 mg IV 시작 → 반응 없으면 단계적 증량(최대 2 mg) → 필요시 정주 유지 if 청산계 의심(그을음 없음의 연기흡입, 급성 혼수·경련, 젖산성 산증): 하이드록소코발아민 5 g IV 즉시 → 반응 부족 시 5 g 추가 elif 유기인계 의심(다한증, 축동, 기관지분비 증가): 아트로핀 1~2 mg IV 반복 적정 + 프라리독심 로딩 후 유지 elif 메탄올/에틸렌글리콜 의심(시야흐림, 복통, 대사성 산증): 포메피졸 로딩 → 혈액투석 적응증 검토 elif 메트헤모글로빈혈증 의심(청색증, 산소포화도 불일치, 산화제 노출): 메틸렌블루 1~2 mg/kg IV # 언제든 불명독물: 활력 유지, 독성학 컨설트, 독물 스크리닝, 노출원 차단, 지지요법 병행 

주요 유독물질별 해독제 요약표

표의 용량은 성인 기준 권장범위 예시이다. 환자 상태, 체중, 신장기능에 따라 조정한다.

독물 분류주요 물질1차 해독제권장 투여 요법보조·대체특이 주의
청산계 시안화수소, 시안화칼륨 하이드록소코발아민 5 g IV 15분 이상, 필요시 5 g 추가 티오황산나트륨 12.5 g IV 병용 고려 색조 변화로 CO-Oximetry 간섭 가능하다.
청산계(대안) CN 노출 확실 질산나트륨 300 mg IV 2~4분 아밀니트라이트 흡입, 티오황산나트륨 12.5 g IV 저혈압·저산소증에서 메트헤모글로빈 유도 주의가 필요하다.
유기인계 살충제 파라티온, 말라티온 등 아트로핀 1~2 mg IV 반복 적정. 기관지분비 소실까지 증량 프라리독심 30 mg/kg IV 로딩 후 8~16 mg/kg/h 발작 시 디아제팜 병용한다.
카바메이트 카르바릴 등 아트로핀 증상 소실까지 적정 프라리독심 효과 제한적 노출 중단과 제독이 핵심이다.
알코올류 메탄올 포메피졸 15 mg/kg IV 로딩 → 10 mg/kg q12h 혈액투석, 엽산 보조 시력 증상 및 대사성 산증이면 즉시 투여한다.
알코올류 에틸렌글리콜 포메피졸 동일 요법 혈액투석, 피리독신·티아민 보조 신부전 진행을 예방한다.
아편계 헤로인, 펜타닐, 옥시코돈 날록손 0.04 mg IV→0.4 mg→2 mg 단계적 증량, 필요 시 주입 공기길 확보 및 환기 반감기 짧아 재호흡억제 재발에 주의한다.
벤조디아제핀 디아제팜, 로라제팜 플루마제닐 0.2 mg IV, 1분 간격 0.2 mg 반복, 최대 1 mg 지지요법 만성 복용자·TCA 혼합중독은 금기이다.
메트헤모글로빈혈증 유발제 질산염, 아질산염, 프릴카인, 아닐린 염료 메틸렌블루 1~2 mg/kg IV 5분, 필요 시 1시간 후 반복 고농도 산소 G6PD 결핍에서 용혈 위험이 있다.
파라세타몰 아세트아미노펜 N-아세틸시스테인(NAC) 150 mg/kg 1 h → 50 mg/kg 4 h → 100 mg/kg 16 h 경구 NAC 대체 가능 8시간 이내 시작이 이상적이다.
강산·강알칼리 부식제 섭취 특이적 해독제 없음 내시경 평가, 기도 보호 희석 목적 물 투여는 제한적으로 검토 구토 유발은 금기이다.
불소화수소산 HF 피부·안구·흡입 칼슘글루코네이트 젤 도포 또는 피하/국소 주입 경련성 저칼슘혈증 시 IV 칼슘 심실부정맥 위험이 높다.
트라이사이클릭계 항우울제 아미트립틸린 등 중탄산나트륨 1~2 mEq/kg IV 볼루스, pH 7.50~7.55 목표 지지요법, 리도카인 QRS 연장 시 즉시 투여한다.
디곡신 심배당체 디곡신 특이 Fab 용량 = 혈중 농도·섭취량 기반 계산 부정맥 보정 저칼륨혈증 교정이 중요하다.
베타차단제 프로프라놀롤 등 글루카곤 3~5 mg IV 볼루스 → 주입 고용량 인슐린-유글리세미아 요법 저혈당·저칼륨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칼슘채널차단제 베라파밀, 딜티아젬 칼슘 염 칼슘클로라이드 또는 글루코네이트 IV 고용량 인슐린-유글리세미아 요법 혈역학 모니터링을 지속한다.
제제 과다복용 데페록사민 15 mg/kg/h IV, 최대 6~8 g/일 소아는 체중 기반 장기 주입 시 폐색소침착이 보고되었다.
무기납 CaNa2EDTA 1,000~1,500 mg/m2/일 IV 분할 디메르캅롤 병용, 소아는 DMSA 신기능 감시가 필요하다.
수은·비소 무기수은, 비소 디메르캅롤(BAL) 3~5 mg/kg IM q4h DMSA 경구 10 mg/kg q8h 유기수은에서는 효과가 제한적일 수 있다.
구리 구리염, 윌슨병 페니실라민 체중 기반 경구 분할 트리엔틴 대안 과민반응과 단백뇨에 주의한다.
이소니아지드 항결핵제 과량 피리독신(비타민 B6) 섭취량 g당 1 g IV, 불명시 70 mg/kg 지속성 경련 시 반복 포도당 보조가 필요하다.
헤파린 과항응고 프로타민 최근 2시간 내 투여 100 U당 1 mg 저분자량 헤파린은 부분 중화 속주입 시 저혈압에 주의한다.
와파린 비타민 K 길항 비타민 K 5~10 mg PO/IV 4인자 PCC 병용 중증 출혈 시 PCC를 우선한다.
일산화탄소 CO 특이적 해독제 없음 100% 산소 또는 비재호흡 마스크 고압산소 요법 적응증 평가 임신과 신경학적 증상은 적극 평가한다.
파라콰트 제초제 특이적 해독제 없음 조기 흡착제, 기계환기 최소화 면역억제 요법 사례 기반 고농도 산소는 폐손상 악화 위험이 있다.

해독제의 작용 원리 요약

  • 결합·키레이션 : 금속류에 디메르캅롤, DMSA, EDTA가 배설을 촉진한다.
  • 효소 재활성화 : 유기인계에 프라리독심이 아세틸콜린에스터레이스를 재활성화한다.
  • 수송체 경쟁·효소 차단 : 포메피졸이 알코올 탈수소효소를 경쟁적으로 억제한다.
  • 수용체 길항 : 날록손이 μ-오피오이드 수용체를 경쟁적 차단한다.
  • 대체 전자수용체·독성 대사 차단 : NAC가 글루타티온 전구체로 작용한다.
  • 산화환원 정상화 : 메틸렌블루가 MetHb를 Hb로 환원한다.

투여·준비 체크리스트

항목실무 체크포인트권장 빈도
재고 관리하이드록소코발아민, 날록손, NAC, 포메피졸은 상시 구비한다.매월
보관 조건광·온도 민감 약제는 원포장·규정온도 유지한다.상시
라벨링농도, 용량, 희석지시를 전면 스티커로 부착한다.입고 시
교육직군별 투여 적정 시나리오 훈련을 시행한다.분기
시뮬레이션유기인계, 청산계, 아편계를 핵심 시나리오로 선정한다.반기

병용요법과 중재

  • 혈액투석 : 메탄올·에틸렌글리콜, 살리실산 중증, 리튬 중독에서 고려한다.
  • 지지요법 : 수액, 전해질, 체온, 혈당, 산염기 균형을 유지한다.
  • 부정맥 관리 : TCA 중독에서 중탄산나트륨, 디곡신 중독에서 Fab가 우선이다.
주의 : 위세척·구토유발은 부식제, 탄화수소 섭취에서 금기이다. 활성탄은 기도 보호가 가능한 환자에서 선택적으로 적용한다.

현장 제독·환기·격리 절차 핵심

피부와 점막에 노출된 경우 다량의 미온수로 15분 이상 세척한다. 흡입 노출은 즉시 신선한 공기로 이동하고 고유량 산소를 제공한다. 오염 의복은 제거하여 이차 노출을 방지한다. 밀폐 공간 내 가스 노출이 의심될 때는 구조자 호흡보호구 착용이 필수이다.

금기와 함정

  • 플루마제닐은 만성 벤조디아제핀 복용자, 삼환계 항우울제 혼합중독에서 금기이다.
  • 질산염으로 메트헤모글로빈을 일부러 유도하는 청산 해독 전략은 저산소증 환자에서 위험하다.
  • 하이드록소코발아민 투여 후 피부·체액의 적색 변색이 발생한다. 실험실 수치 해석에 혼선을 줄 수 있다.
  • 유기인계 중독에서 아트로핀 적정 목표를 기관지분비 소실·호흡음 개선으로 잡는다.

산업장 적용 가이드

  1. 사업장별 취급물질 목록을 GHS 분류와 함께 데이터베이스화한다.
  2. 물질별 우선 해독제와 초기 용량을 포스터로 현장 비치한다.
  3. 응급카트에 하이드록소코발아민, 날록손, NAC, 포메피졸, 아트로핀·프라리독심 키트를 표준 구성으로 포함한다.
  4. 교육은 역할 기반으로 설계한다. 초동대응, 투여 준비, 의사 커뮤니케이션 등 단계별로 훈련한다.
  5. 지역 응급의료기관과 중독상담센터 연락망을 상시 업데이트한다.

케이스 기반 요약 시나리오

사례 1. 연기흡입 후 혼수와 젖산성 산증 : 그을음 없는 밀폐공간 화재 노출이다. 시안화물 의심으로 하이드록소코발아민 5 g IV 즉시 투여한다. 젖산은 추적하되 정상화까지 산소 공급을 유지한다.

사례 2. 창고 살충제 살포 중 분비물 증가·서맥 : 유기인계 의심이다. 아트로핀을 1~2 mg씩 반복하여 기관지분비가 마를 때까지 적정하고 프라리독심을 로딩 후 유지한다.

사례 3. 야간 공정에서 부동액 섭취 추정과 심한 산증 : 에틸렌글리콜 가능성이 높다. 포메피졸을 즉시 로딩하고 혈액투석 적응증을 평가한다. 티아민과 피리독신을 보조로 투여한다.

사례 4. 해프너 반응과 축동, 호흡억제 : 아편계 과량이다. 날록손을 소용량에서 시작해 적정한다. 재발성 호흡억제 시 지속 정주로 전환한다.

응급의료 문서화 팁

  • 노출 추정 시간, 경로, 물질 라벨, 배치번호를 기록한다.
  • 해독제 투여 시간, 용량, 반응, 부작용을 타임라인으로 남긴다.
  • 환자 교육 내용과 재노출 방지 조치를 기재한다.

FAQ

확진 전 해독제를 시작해도 되는가

청산계, 아편계, 메탄올·에틸렌글리콜과 같이 시간 의존성이 높은 경우 임상 징후와 현장 정보만으로도 투여를 시작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활성탄은 언제 사용하는가

기도 보호가 가능한 환자에서 초기 1시간 이내 대부분의 경구 독물에 고려한다. 부식제와 탄화수소는 금기이다.

NAC는 8시간 이후에도 효과가 있는가

지연 투여에서도 간손상 진행을 줄이는 이점이 보고되었다. 지연되었더라도 투여를 검토한다.

포메피졸이 없을 때는 어떻게 하는가

의료기관 프로토콜에 따라 에탄올 요법을 사용할 수 있다. 혈중 농도 모니터링과 중추신경계 억제에 주의한다.

플루마제닐은 언제 피하는가

만성 벤조디아제핀 복용자, 삼환계 항우울제 혼합중독, 항경련제 복용자에서는 발작 위험으로 피한다.

현장 배포용 요약 카드(샘플)

■ 청산계: Hydroxocobalamin 5 g IV 즉시, 필요시 반복 ■ 유기인계: Atropine 적정 + Pralidoxime 로딩/유지 ■ 메탄올/EG: Fomepizole 로딩 → 혈액투석 고려 ■ 아편계: Naloxone 적정, 필요시 지속주입 ■ MetHb: Methylene blue 1~2 mg/kg IV ■ APAP: NAC 150/50/100 mg/kg 정주 프로토콜 

본 가이드는 임상의·산업보건전문가의 현장 판단을 보조하기 위한 참고서이다. 실제 투여는 환자별 상태, 병력, 병용약물, 검사 결과를 기반으로 전문의가 결정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