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SDS 검색 방법 완벽 가이드: 물질명·CAS번호로 안전정보 찾는 법

이 글의 목적은 산업현장과 연구실에서 즉시 활용할 수 있도록 MSDS(물질안전보건자료)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정확하고 빠르게 찾는 방법과 검색 결과를 현장 안전대책으로 연결하는 절차를 체계적으로 정리하는 것이다.

1. MSDS의 정의와 법적 요구사항 이해

MSDS(Material Safety Data Sheet)는 화학제품과 물질의 유해·위험성, 취급 및 저장, 누출·화재 대응, 노출기준, 개인보호구, 폐기방법 등을 표준 양식으로 제공하는 문서이다. 국내에서는 산업안전보건 관련 법령에 따라 제조자·수입자·공급자가 MSDS를 작성하여 제공해야 하며, 사업장은 작업자에게 이를 비치하고 교육해야 한다. 글로벌 기준으로는 GHS 분류·표시체계를 따르는 16개 항목 서식이 일반적이다.

2. 검색 준비: 필수 키 데이터 정리

정확한 검색을 위해 다음 기본 데이터를 사전에 정리한다.

  • 정식 물질명(예: Acetone, Sulfuric acid, Toluene)과 한국어·영문 동의어
  • CAS Registry Number(예: 아세톤 67-64-1, 황산 7664-93-9, 톨루엔 108-88-3)
  • 제품명·상표명(혼합물의 경우)
  • 제조사·수입사명 및 제품 코드
  • 혼합물 주요 성분 함량 범위
주의 : 상표명은 동일 물질이라도 제조사마다 다르므로, 가능한 한 CAS번호 또는 IUPAC명으로 1차 검색을 수행하는 것이 정확하다.

3. 데이터베이스 유형과 활용 전략

국내 안전보건기관, 정부 화학물질 정보시스템, 학술·산업협회, 제조사·유통사 사이트 등 다양한 소스가 있다. 다음 표는 검색 시 유용한 기준을 정리한 것이다.

데이터베이스 유형주요 용도강점주의사항
국내 공공 DB국내 유통 제품·표준 MSDS 열람한국어 자료, 최신 규격 반영 가능제품별 등록 상태에 따라 공란 또는 축약본 가능
정부 화학물질 정보시스템물질별 규제·분류·유해성 요약CAS 기반의 정합성 높음제조사별 제품 MSDS와 서술 차이 존재
국외 공공 DB글로벌 물질 표준 MSDS 조회방대한 커버리지, 다국어국내 규제와 불일치 가능
제조사·유통사 사이트제품·배치(LOT) 특정 MSDS가장 실무적, 최신 버전 확보 용이사이트 개편·품번 변경 시 재검색 필요

4. 검색 키워드 설계: 물질명 vs CAS번호

검색 정확도는 키워드 품질에 좌우된다. 아래 원칙을 따른다.

  • 단일물질: CAS번호를 최우선 사용한다.
  • 동의어 많은 물질: IUPAC명, 통용명, 약어를 OR 조합한다.
  • 혼합물: 제품명 + 핵심 성분 CAS번호를 병기한다.
  • 하이픈 포함 정확표기: CAS는 반드시 하이픈을 포함한다(예: 67-64-1).
예시 검색식(불리언 예시) "67-64-1" OR "Acetone" OR "Dimethyl ketone" "7664-93-9" OR "Sulfuric acid" OR "Oil of vitriol" "Toluene" AND "108-88-3" AND "MSDS" 
주의 : 일부 DB는 하이픈 없는 CAS를 인식하지 못한다. "67641" 대신 "67-64-1" 형식으로 입력한다.

5. CAS번호 진위 검증: 체크디지트 계산

오탈자 방지를 위해 CAS 체크디지트를 검증한다. 마지막 숫자는 가중합의 모듈러 10 결과이다.

검증 알고리즘 1) 하이픈을 제거한다. 예: "67-64-1" → "67641" 2) 마지막 숫자(체크디지트)를 분리한다. cd = 1 3) 나머지 숫자를 오른쪽부터 1,2,3,... 가중치로 곱해 합한다. 4*1 + 6*2 + 7*3 + 6*4 = 4 + 12 + 21 + 24 = 61 4) 합계의 10으로 나눈 나머지가 체크디지트와 같아야 한다. 61 mod 10 = 1 → 일치 
Python 예시 코드 def cas_valid(cas: str) -> bool: s = cas.replace("-", "") if not s.isdigit() or len(s) < 3: return False cd = int(s[-1]) body = list(map(int, s[:-1])) weight = 1 total = 0 for n in reversed(body): total += n * weight weight += 1 return total % 10 == cd
print(cas_valid("67-64-1")) # True
print(cas_valid("108-88-3")) # True

6. 단계별 검색 절차(SOP)

6.1 단일물질 검색

  1. CAS번호로 1차 검색한다.
  2. 검색 결과에서 최신 개정본(개정일, 버전)을 우선 선택한다.
  3. 언어 선택에서 한국어·영어를 병행 확인한다.
  4. PDF 원본을 저장하고 파일명에 물질명_CAS_버전_개정일을 부여한다.

6.2 혼합물(제품) 검색

  1. 제품명으로 검색한다.
  2. 동일 제품이 다수일 경우 제조사·제품코드로 필터링한다.
  3. 혼합물 주요 성분의 CAS번호를 확보하여 교차검증한다.
  4. 제조사 배포 페이지에서 동일 제품의 최신 MSDS를 재확인한다.

6.3 동의어·약어가 많은 물질

  1. 물질명, 동의어, 약어를 OR로 묶는다.
  2. 철자 변형을 와일드카드로 보완한다(지원 DB 한정).
  3. UN 번호, EC 번호 등 다른 식별자를 보조로 사용한다.

7. 결과 판독: 16개 항목 핵심 체크포인트

항목확인 포인트현장 적용
1. 물질·회사 식별제품명, CAS, 제품코드, 공급자 연락처비상연락망 카드에 반영
2. 유해·위험성GHS 분류, 신호어, 그림문자, H/P 문구라벨·표지 및 교육자료 업데이트
3. 구성성분혼합물 성분, 함량 범위, 비밀성분 표시대체물질 검토, 노출평가 입력 값
4. 응급조치흡입·피부·눈·섭취별 조치응급 키트, 안내문 부착
5. 화재시 대책적합 소화제, 특수 위험, 보호장비소화설비 적합성 점검
6. 누출사고 대책격리·제거 방법, 환경유출 방지유출 키트, 배수 차단 플러그 비치
7. 취급·저장온도·습도·광선 조건, 비적합 물질창고 구획, 분리보관 표준 확립
8. 노출방지·개인보호구노출기준, 공학적 제어, PPE 등급국소배기 성능, 보호구 규격 일치 확인
9. 물리화학적 성질비점, 인화점, 증기압, 용해도환기량 산출, 폭발영역 평가
10. 안정성·반응성회피조건, 반응성 위험, 분해 생성물공정상 안전 인터락 설정
11. 독성정보급성·만성 독성, 표적장기 영향건강검진 항목 연계
12. 환경영향수생·토양 영향, 지속성·생물농축배출관리 기준 검토
13. 폐기시 주의폐기물 분류, 중화·무해화 조건폐기물 위탁 코드 지정
14. 운송정보UN 번호, 분류, 포장등급운송 라벨, 적재 제한 준수
15. 법적 규제국가별 규제 목록 등재 여부허가·신고 필요 여부 판단
16. 기타 정보개정 이력, 참고 문헌버전 관리 및 재검토 주기 설정

8. 검색 품질 높이는 팁

  • 개정일 필터: 최신 개정일 우선 정렬을 적용한다.
  • 언어 크로스체크: 한국어와 영어판을 비교하여 누락 항목을 보완한다.
  • 버전 라벨링: 파일명에 버전과 개정일을 포함한다.
  • 원본 검증: 스캔본이 아닌 텍스트 추출 가능한 원본 PDF를 선호한다.
주의 : 동일 물질이라도 공급자별 MSDS 내용이 상이할 수 있다. 작업현장에는 실제 사용하는 제품의 제조사 MSDS를 비치한다.

9. 혼합물 성분 역추적 체크리스트

  1. MSDS 3항의 성분표에서 CAS번호와 함량 범위를 기록한다.
  2. 유해성 높은 성분의 노출기준과 GHS 분류를 개별 확인한다.
  3. 성분별 끓는점·증기압으로 환기·국소배기 설계를 검토한다.
  4. 저함량이라도 CMR 등 고위험 표지 성분은 별도 관리한다.

10. 현장 적용: 환기량·노출평가 빠른 계산

MSDS의 노출기준을 현장 평가에 적용할 때 자주 쓰는 변환식을 정리한다.

ppm ↔ mg/m³ 변환(25°C, 1 atm 근사) mg/m³ = ppm × (분자량) / 24.45 ppm = mg/m³ × 24.45 / (분자량)
예) 아세톤(분자량 58.08) 500 ppm → mg/m³
= 500 × 58.08 / 24.45 ≈ 1188 mg/m³
간이 환기량 추정(증기 발생량 G, 허용농도 C_limit, 외기농도 ~ 0) 필요 환기량 Q ≈ G / C_limit [동일 단위 사용] 예) 증기 발생량 G = 20 g/h, 허용농도 500 mg/m³ Q ≈ 20000 mg/h ÷ 500 mg/m³ = 40 m³/h 
주의 : 위 공식은 1차 근사이다. 폭발 하한, 열원, 국소배기 포집효율, 실내 체적·혼합 상태를 고려해 보수적으로 설계한다.

11. 파일·개정 이력 관리 모범사례

  • 폴더 구조: /MSDS/<제조사>/<제품명>/<버전_개정일> 형태로 저장한다.
  • 파일명 규칙: 제품명_물질명(또는CAS)_버전_YYYYMMDD.pdf로 표준화한다.
  • 개정 트리거: 공급자 공지, 규제개정, 성분 변경 시 즉시 갱신한다.
  • 폐기·대체 기록: 낡은 버전은 “참고용 보관”으로 이동하고 사용중지 표시한다.

12. 라벨·표지 업데이트 절차

  1. MSDS 2항의 신호어·그림문자·위험문구(H)·주의문구(P)를 추출한다.
  2. 용기 라벨 템플릿에 반영한다.
  3. 언어 요구사항을 확인하고 다국어가 필요한 구역에는 병기한다.
  4. 시험성적서·적합성 인증 등 별도 표기를 요구하는 품목은 추가한다.

13. 교육자료로 전환: 핵심 슬라이드 구성

  • 왜 이 물질이 위험한가: GHS 분류 요약
  • 어디서 노출되는가: 공정 단계별 노출 포인트
  • 어떻게 차단하는가: 공학적 제어·작업방법·PPE
  • 사고 시 대처 순서: 응급·누출·화재 플로우차트

14. 자주 발생하는 오류와 해결

문제원인해결
검색 결과가 너무 많음일반명만 사용CAS번호 사용, 제조사·제품코드 추가
원하는 언어본 없음DB 언어 한정다른 DB 크로스체크, 제조사 자료 요청
옛 버전 사용개정일 확인 누락개정일 최신 정렬, 버전 비교
혼합물 성분 누락비공개 범위 표기핵심 유해성분 별도 자료 확인
라벨과 MSDS 불일치제품 리브랜딩현재 판매 사양 기준으로 동시 갱신

15. 실무 예시: 3가지 대표 물질 검색·판독

15.1 아세톤(67-64-1)

  • 핵심 위험: 고인화성 액체, 마취성 효과
  • 중점 대책: 방폭 환기, 인화점 이하 온도 관리, 정전기 접지
  • 라벨: 불꽃 그림문자, 신호어 “위험” 사례 다수

15.2 황산(7664-93-9)

  • 핵심 위험: 강부식성, 열 발생 반응
  • 중점 대책: 물과 혼합 금지, 내산성 보관, 산증기 국소배기
  • 라벨: 부식 그림문자, 신호어 “위험” 사례 다수

15.3 톨루엔(108-88-3)

  • 핵심 위험: 인화성, 중추신경계 영향
  • 중점 대책: 용제 취급 구역 환기, 용기 밀폐, 화기 근접 금지
  • 라벨: 불꽃·감탄부호 그림문자 병기 사례 존재
주의 : 위 사례는 대표적 포인트 요약이다. 실제 적용 시에는 담당 제품의 최신 문서를 우선한다.

16. 내부 표준서식: MSDS 수신·검토 기록지

문서명: MSDS 수신·검토 기록지 제품명/물질명: 제조사/공급자: CAS/제품코드: 버전/개정일: 주요 GHS 분류/그림문자: 노출기준(TWA/STEL): 취급·저장 요구사항 요약: 응급/누출/화재 대응 핵심: 운송정보(UN/포장등급): 법적 유의사항: 검토자/부서/일자: 

17. 교육 체크리스트

  • MSDS 위치·열람 방법을 모든 작업자가 알고 있다.
  • 신규 물질 투입 시 사전 검토·교육이 완료되었다.
  • 라벨과 보관구역 표지가 일치한다.
  • PPE 규격과 실제 지급 품목이 일치한다.
  • 유출 키트·소화기 종류가 물질 특성에 맞다.

FAQ

MSDS가 여러 버전일 때 무엇을 쓰는가?

가장 최신 개정일과 버전을 우선한다. 현장 비치본도 즉시 교체한다.

혼합물인데 CAS번호가 여러 개다. 어떻게 검색하나?

제품명으로 1차 검색 후, 핵심 성분의 CAS를 보조 키로 사용해 교차검증한다.

국내 자료가 없으면 어떻게 하나?

국외 표준 MSDS로 유해성·대응을 파악한 뒤 국내 규제항목을 별도 확인하여 차이를 보정한다.

스캔본이라 검색이 어렵다. 대처 방법은?

텍스트 기반 원본을 우선 확보하고, 불가피하면 OCR로 핵심 항목을 추출하여 검토한다.

노출기준 단위가 다르다. 어떻게 비교하나?

본문의 변환식을 사용해 통일 단위로 환산한 후 비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