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이 글의 목적은 생리대 유해물질 논란의 과학적 쟁점을 정리하고, 시험평가 방법과 관리기준,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구매·관리 체크리스트를 제공하여 소비자와 실무자가 안전한 선택과 관리를 수행하도록 돕는 것이다.
1. 2017년 생리대 유해물질 논란 개요와 이후 변화
2017년에 일부 여성용 생리대에서 휘발성유기화합물 등 성분이 검출되었다는 보고가 나와 사회적 논란이 발생하였고 정부는 대규모 조사를 통해 인체에 유해한 수준은 아니라는 결론을 발표하였다.
이 사건을 계기로 소비자 불안을 줄이기 위해 제품의 전 성분 공개 확대, 제조공정의 품질관리 고도화, 시험법의 표준화, 사후 모니터링 강화가 추진되었다.
국내에서 생리대는 의약외품으로 분류되며 생산 단계부터 품질관리와 위해성 평가를 적용하도록 관리가 강화되었다.
주의 : “검출”은 곧 “위해”를 의미하지 않으며, 위해성은 노출량과 노출경로, 노출시간을 함께 고려하여 판단해야 한다.
2. 생리대 구성재와 잠재적 유해물질 발생 경로
일반적인 일회용 생리대는 상부커버, 흡수체, 방수필름, 접착층, 향료 또는 염료, 포장재로 구성되며 각 구성재의 원료와 가공공정에 따라 미량의 화학물질이 잔류하거나 방출될 수 있다.
| 구성재 | 주요 소재 | 잠재적 유해물질·지표 | 발생 경로 |
|---|---|---|---|
| 상부커버 |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부직포 | 저분자 VOC, 잔류모노머, 미량 산화생성물 | 열가공 중 분해, 산화에 의한 생성 |
| 흡수체 | 펄프, 고흡수성수지(SAP) | 아크릴산 등 잔류단량체, 포름알데히드 등 카보닐류 | 중합·건조 공정 잔류, 표백·가공 부산물 |
| 방수필름 | 폴리에틸렌 필름 | 저탄화수소계 VOC | 압출·열융착 공정 중 휘발 |
| 접착층 | EVA계 핫멜트, 압감접착제 | 톨루엔류, 에틸벤젠, 케톤류 등 VOC | 용제 사용, 핫멜트 가열 시 휘발 |
| 향료·염료 | 향료 조합, 유색 잉크 | 알레르기 유발 향료, 프탈레이트류, 방향족 용제 | 첨가·인쇄 과정 잔류 |
| 포장재 | 폴리올레핀 필름, 종이 | 포장취기, 잔류용제, 실란트 기인 VOC | 인쇄·라미네이션 공정 잔류 |
3. “검출”과 “위해성”의 차이
분석기술의 민감도 향상으로 나노그램 수준의 물질도 검출되지만, 위해성 판단은 노출평가와 독성기준 비교를 통해 이루어진다.
핵심은 단위 패드에서 방출되는 물질의 양이 실제 사용 조건에서 인체에 흡수되는 양으로 얼마나 전환되는지를 계산하고, 해당 값이 참고용량이나 허용농도보다 충분히 낮은지 확인하는 것이다.
주의 : 서로 다른 시험기관의 “검출” 결과는 시료 처리, 챔버 조건, 교정가스, 정량한계가 다르면 직접 비교하면 안 된다.
4. 시험평가 방법과 권장 조건
4.1 VOC 및 카보닐류 방출시험
완제품을 소형 챔버에 넣고 정해진 온도, 상대습도, 공기교환율에서 정적 또는 동적 조건으로 방출을 포집하여 분석한다.
- VOC 포집·분석은 흡착관 열탈착 후 GC-MS로 정성·정량한다.
- 알데하이드는 DNPH 카트리지 유도체화 후 HPLC로 정량한다.
- 보고 단위는 μg·unit⁻¹, μg·m⁻³, μg·h⁻¹ 등으로 표준화한다.
- 시험 조건은 23±2°C, 50±5%RH, 공기교환율 1.0 h⁻¹ 등 실사용 근사 조건을 권장한다.
4.2 잔류용제·가소제·알레르겐 분석
- 잔류용제는 헤드스페이스 GC-MS로 스크리닝한다.
- 프탈레이트류는 용매 추출 후 GC-MS 또는 LC-MS로 정량한다.
- 알레르기 유발 향료는 표준 혼합물로 타깃 스캔하여 확인한다.
4.3 생체적합성 및 피부자극 평가
- 경피 접촉 제품 특성상 패치 시험을 통한 피부자극 평가를 수행한다.
- 필요 시 세포독성 등 기본 생체적합성 항목을 추가한다.
5. 위해성 평가의 실무 절차
- 대상 물질 선정한다.
- 방출량 또는 잔류량을 시험으로 확보한다.
- 현실적 사용 시나리오를 정의한다.
- 흡입·경피 노출량을 산정한다.
- 참고농도나 기준용량과 비교하여 안전여유도를 계산한다.
- 불확실성 요소를 문서화하고 보수적 가정을 명시한다.
# 단순 흡입 노출 예시 계산 파이썬 유사 의사코드 emission_per_unit = 12.0 # μg/unit room_volume = 8.0 # m^3, 화장실 체적 가정 air_exchange = 2.0 # h^-1 use_time = 0.5 # h # 정상상태 근사 평균농도 C = emission_per_unit / room_volume # μg/m^3 # 환기 고려 체류계수 적용 theta = (1 - pow(2.71828, -air_exchange*use_time)) / (air_exchange*use_time) C_avg = C * theta inhalation_rate = 0.6 # m^3/h, 휴식~가벼운 활동 dose = C_avg * inhalation_rate * use_time # μg/event RfD_event = 200.0 # μg/event, 참고치 예시 MOE = RfD_event / dose print(MOE) # MOE가 100 이상이면 보수적 조건에서 낮은 우려로 해석한다. 주의 : 위 계산은 설명을 위한 예시이며 실제 위해성 평가는 다물질 동시 노출, 누적노출, 취약집단 변이를 포함하여 보수적으로 수행해야 한다.
6. 관리기준 수립과 전 성분 공개의 실무
관리기준은 기술적 가능성과 위해관리 목표 사이의 균형으로 설정하며 시험법의 정량한계와 측정불확도를 포함해 정의한다.
- 완제품 VOC 관리한계는 타깃물질별로 μg·unit⁻¹ 기준을 설정한다.
- 향료 사용 시 알레르기 유발 성분의 함량 표기 또는 불사용 정책을 수립한다.
- 포름알데히드 등 카보닐류는 엄격한 관리한계를 설정하고 연 1회 이상 정기 검사를 수행한다.
- 전 성분 공개는 구성재 기준으로 원료명, 기능, 공급사 코드, 규격을 포함해 단계적으로 확대한다.
7. 제조사 품질보증 체계 구축 체크리스트
| 항목 | 요구 사항 | 검증 방법 | 주기 |
|---|---|---|---|
| 원료 승인 | 저VOC 규격, 알레르겐 불검출 규격 확보 | COA, 부적합 이력 리뷰 | 신규 승인 시 |
| 공정 관리 | 가열·건조 온도 프로파일 표준화 | SOP, 공정감사 | 분기 |
| 완제품 시험 | VOC·카보닐류·프탈레이트 타깃 분석 | 공인 시험성적서 | 로트별 또는 월간 |
| 포장·보관 | 신선 공기 유통, 고온 보관 금지 | 창고 온습도 로깅 | 상시 |
| 라벨링 | 전 성분 공개 및 주의문구 표기 | 레이아웃 승인 | 변경 시 |
| 사후 모니터링 | 고객 VOC 불만 분석 프로토콜 | 클레임 트래킹 | 상시 |
8. 구매자·병원·지자체 실무 체크리스트
- 전 성분 공개 여부를 우선 확인한다.
- 완제품 VOC 방출시험 성적서 보유 여부를 확인한다.
- 향료 무첨가 제품 옵션을 검토한다.
- 벌크 납품 시 최근 로트 시험성적서 제출을 요구한다.
- 보관창고 온도 10~30°C, 직사광선 차단을 준수한다.
9. 소비자 사용 시 안전수칙
- 향에 민감하거나 피부가 예민하면 무향·저자극 제품을 선택한다.
- 개별 포장 개봉 후 장기간 차량 내 고온 방치하지 않는다.
- 피부 자극이 지속되면 제품 사용을 중단하고 전문의 상담을 받는다.
- 제조번호와 사용 시 불편사항을 기록하면 사후 대응에 도움이 된다.
10. 자주 검출이 논의되는 물질과 해석 포인트
| 물질군 | 대표 물질 | 우려 근거 | 평가 포인트 |
|---|---|---|---|
| 방향족 탄화수소 | 톨루엔, 에틸벤젠, 크실렌 | 흡입 노출 시 중추신경계 영향 | μg·unit⁻¹ 방출량과 환기 고려 |
| 카보닐류 | 포름알데히드, 아세트알데히드 | 점막 자극성과 장기 독성 데이터 | 정량한계 대비 수치와 허용농도 비교 |
| 용제계 케톤 | 아세톤, MEK | 단기 흡입 자극 | 단기 사용 시 평균농도 산정 |
| 가소제 | DEHP, DBP 등 | 내분비계 교란 가능성 | 용출량과 경피흡수율 가정 |
| 향료 알레르겐 | 리모넨, 리날룰 | 피부 과민 반응 사례 | 무향 제품 선택 여부 |
11. 분석결과 보고서 작성 요령
- 시료 정보는 제품명, 로트, 제조일, 보관조건을 명확히 기재한다.
- 시험법은 챔버 조건, 포집·분석 장비, 교정범위를 상세히 기술한다.
- 정량한계, 불확도, 공백시료 결과를 포함한다.
- 건수별 결과는 평균과 백분위수로 제시하고 타 시험과의 직접 비교는 피한다.
- 위해성 해석은 보수적 노출시나리오와 참고치 출처를 명시한다.
12. 핵심 정리
- 생리대에서 소량의 화학물질이 검출될 수 있으나 대다수는 관리 기준과 실사용 노출에서 낮은 위해 수준으로 평가된다.
- 전 성분 공개와 표준화된 시험법, 제조공정 관리가 소비자 신뢰를 높인다.
- 구매와 사용 단계에서의 기본 수칙 준수가 추가적인 안전여유를 제공한다.
FAQ
무향 제품이 항상 더 안전한가
향료 알레르겐 노출 가능성을 줄일 수 있어 민감 피부에게 유리하지만, 기본적인 품질관리와 저VOC 공정이 함께 충족되어야 의미가 있다.
“불검출” 표기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시험법의 정량한계 미만임을 의미하며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다는 뜻이 아니다.
가열된 차량 내부에 제품을 보관해도 되는가
권장하지 않는다.
피부 트러블이 생기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즉시 사용을 중단하고 전문의 상담을 받으며 로트번호와 증상을 기록하여 제조사 고객센터에 전달한다.